2025년 우리나라 및 해외 물가 비교 (+ 소비자 물가 지수 추이)

728x90
반응형

1. 소비자 물가지수 추이

안녕하세요. 바이 더 월입니다.
최근 외식물가가 점차 올라가고 있어서 소비자가 느끼는 물가 상승률 체감이 높아지는 상태인데요.
한가지 궁금한 부분이 생기는데, 유독 우리나라만 소비자 물가가 오르냐 이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통계 데이터를 통해서 우리나라 외식 물가와 해외 외식 물가를 비교해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먼저, 소비자 물가 추이부터 살펴볼께요.

KOSIS의 소비자물가지수를 살펴보면, 지난 2000년도부터 2025년까지 63.151에서 116.08로 52.929 증가하였습니다.

소비자 물가 추이

이 소비자물가지수의 체감이 안되신다면, 지수에 대한 이해를 먼저 하셔야 하는데요.
도시가계가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상품가격과 서비스 요금의 변동을 종합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지수로서
458개의 품목을 대상으로 하여 매월 상품가격과 서비스 요금 변동률을 측정하여 확인하고 있습니다.
그래프 상으로는 97년도 외환위기 이후로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비교적 완만하게 이루어지다가 2022년도에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하여 물가 상승이 높아지기도 하였습니다.

소비자물가상승률 그래프

2. 2025년 우리나라 평균 식품가격

다음은 numbeo 데이터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평균 식품가격에 대해 알아볼건데요.
우리나라 식품가격에 대해 알아본 뒤, 해외 도시물가도 알아보겠습니다.

항목은 크게 식비 권장 최소금액으로 2,400kcal 기준이고 
0.25L 우유, 125g의 흰빵 덩어리, 0.10kg의 쌀 등의 항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한국식품가격

우리나라 식품 가격은 우유 741원, 빵 1,072원, 쌀 412원, 계란 843원,
치즈 1,864원, 닭고기 1,893원, 사과 3,163원 등 1인당 일일 최소 식비 금액이 23,439원으로
이를 한달로 계산했을 때 약 726,599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4인 가족이면 그 숫자는 280만원에 달하겠죠?

 

3. 2025년 해외 평균 식품가격 비교

저는 오늘 우리나라 식품가격과 해외 식품가격을 비교하며 충격을 느꼈는데요.
우리나라 물가가 매우 비싸다는 것입니다. 우리보다 좀더 비싼 곳은 미국 뉴욕 밖에 없습니다.
주요 선진국가들의 주요 도시들(수도)의 평균 식품 가격들을 비교해보세요.

서울 평균 물가

서울의 경우는 일일 24,837원으로 월로 했을 때에는 76만원 정도가 필요합니다.
참고로 해외는 환율을 계산하여, 2025년 3월 13일 기준 환율로 계산하였습니다. 
(구글 검색 기준)

뉴욕 평균 물가

뉴욕은 1인당 일일 25,899원이 필요하고, 한달의 최소 식비는 80만원 수준입니다.

일본 평균 물가

일본 도쿄는 1인당 일일 1만 9천원이 필요하고, 한달 61만원이 필요합니다. 벌써부터 우리나라 서울 물가와 비교하면
15만원 정도가 더 싼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중국 평균 물가

중국 베이징은 중국의 환율이 우리나라의 5/1 수준인 것을 감안해도, 일일 9,800원 수준이고
한달은 30만원입니다. 

영국 평균 물가

그런데, 서유럽 3개국 (영국,프랑스,독일)의 물가역시도 우리보다 훨씬 저렴합니다.먼저 영국의 경우
1인당 1만 5천원이고, 한달로는 약 46만원이 필요합니다. 서울보다 30만원 정도 저렴합니다.

프랑스 평균 물가

프랑스 파리역시 1인당 2만원, 한달로는 63만원 수준입니다.
우리나라보다 10만원 정도 저렴합니다.

독일 평균 물가

독일 베를린은 1인당 1만 6천원, 한달로 50만원 수준입니다. 우리나라보다 25만원 정도 저렴합니다.

이렇듯, 우리나라 외식물가가 매우 비싼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중국이나 일본은 그렇다 치더라도
서유럽보다 비싸고, 세계에서 가장 비싼 부동산 물가를 자랑하는 미국 뉴욕보다 조금 나은 수준이라면,
뭔가 이상하지 않으신가요? 해당 데이터는 numbeo 데이터를 기준으로 현재(3.13일 기준) 환율을 곱하여 계산한 것으로
조금 상이할 수는 있지만, 우리나라의 현재 물가가 정상적이지 않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식품 및 외식물가를 바로잡는 방법은 어디에 있을지, 앞으로의 콘텐츠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2025년 우리나라 및 해외 물가 비교

반응형